Search
  • Anima Mundi 45-5, 2013, Acrylic on aluminium 29 x 22.8 x 4.8 cm (5 parts, each)
  • Parkhaus 3/7, 2014, Acrylic on aluminium, 41.2 x 290.3 x 1.2 cm (6 parts), Ed.3/7 + 4 AP
  • LUEB Li 109, 2013, Acrylic on alumminium, 168 x 145.5 x 6.5 cm
  • System 2, 2013, Acrylic on alumminium, 195.2 x 233 x 4.5 cm
  • Bild 20.10.2013, 2013, Acrylic on aluminium, 212.7 x 121.5 x 4.5 cm
Imi Knoebel Mar 05 – Apr 18, 2015 | Seoul

LEEAHN Gallery Seoul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Imi Knoebel (b.1940),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nternationally well-known artists of German abstract art. While creating the most radical and innovative works during the period of the post-war in the 1960’s, he has been developing new possibilities for sculptural paintings by composing open-ended shapes and combinations of the vivid colors. The exhibition comprises Knoebel’s aluminum paintings, whose material is crucial to the artist’s oeuvres and ideas.

In his rejection of expressions of traditional paintings, Knoebel’s way of working and approaching to art was oriented from the framework of Suprematism by Kazimir Malevich (1879-1935), one of the most influential Russia avant-garde artists. Especially, his work
(1915), representing just a black square densely situated on a completely empty and white ground, has been regarded as a revolutionary work because it addressed the birth of Suprematism and was an essential to motivate Knoebel to adapt the new approaches to his paintings. Like Malevich, Knoebel strove hard to create a radical theme of non-representation by excluding any figurative elements or transcendent meaning in his paintings and seeking the visual and formative experiences between the simple form as a pure object, space and specific colors he applied.

Moreover, Knoebel’s strong bond with Joseph Beuys, a professor of sculpture at the Düsseldorf Academy, which he attended from 1964-71, also inspired him in the development of his artistic notion. While undertaking the new artistic practices, Beuys set out the manifesto in 1985: “The error already begins when someone is about to buy stretcher and canvas.” This declaration recalls Knoebel’s question on the way of handling a ‘frame’ of rectangular canvas meaningfully, which is a critical issue he had already questioned since the 1960’s. The artist’s creative challenges to be free from the limited boundary of a canvas and establish analytic studies on the ceaseless changes in the spatialization of paintings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In all these aspects, he creates a new sens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ed forms of the individual works, the surrounding spaces and audiences, and offers the sense of totality in which the groups of works constantly build, maintaining the detailed relationship between the sculptur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1960’s, Knoebel ceaselessly sought the de-materialization of works by refraining the use of pre-made canvas and oil paints and regarded the space per se as a field of painting. Recognizing the space as the construction of lines projected onto the buildings or the empty walls, he extended his artistic practice in the manner of rejecting the traditional works and standards. As the artist was named a ‘craftsman’ in the late 1960’s through the early 1970’s, he shifted towards re-materialization when creating a series of monochromatic painting, in which only black and white were used, like
by Malevich. The onset of utilizing other colors started from 1975. Deconstructing the enclosed rectangularity of the canvas, the artist designed the heptagon, the first opened form of work in 1975, and other polygonal shapes made out of fiberboard or wood with basic colors such as green or red. In addition, through the artist’s attempts to extend the materials and everyday found-objects like old wood, rusty iron, used pipes and iron–from 1980’s, he ceaselessly dedicated not only the possibility of new materials and freedom of forms but also a new definition of constructive paintings.

Aluminum is definitely the most significant element of Knoebel’s oeuvre these days. Fascinated by the layer of metal rods on the frame of a mirror, Knoebel has constantly employed this metal as the main medium since the 1990’s. Superimposing the rod-like layers of cut-out aluminums in diverse forms offers the dynamic compositional change, for example,
(2013) in this exhibition. This aluminum painting, titled from the German sociologist and critic Klaus Lueb, looks like a beetle or leaf. Moreover, red brush-strokes, which were applied on the cold surface of the aluminum, even bring out the feeling of warmth, vitality and pleasure of the color. Influenced by Wassily Kandinsky’s color theory, this beautiful harmony of the geometric forms with colors reflects the power of color on the human soul. Likewise, Knoebel’s oeuvre produces the diverse visual effects through geometrical color-field paintings without any references to the specific figures or images. Monumental aluminum paintings like (2013) and (2012) in the exhibition also point to this manner in which the combination of limited color, white and black, and these uncertain forms enables various interpretations to viewers interplaying with them in the given space.

A group of small aluminum paintings
is Knoebel’s new ongoing series, which has been executed from 2010. Each painting is set in the same manner, encompassing 5 parts of a rectangular construction using a variety of coloration. Like , each of 4 works is closely associated to each color vibration and its repeated geometric surface. This combination not only restores it as a whole but also constantly generates a great tension between harmony and disharmony by the way of the colored nuances. Appropriating its title from the philosophical term ‘Anima Mundi’, referred to as ‘The World’s Soul’, Knoebel was inspired by the explanation of Sandro Botticelli’s by Greek philosopher Plato.1 Knowing the meaning of ‘anima mundi,’ spiritual beauty revitalizing the human mind and soul, leads the artist’s body of work to be more beautiful.

Knoebel has created works with multifaceted changes in shapes and materials over the last 50 years. Nevertheless, all of hiswork are perceived as a sense of the one as a whole since his process of creating the pictorial inventions is not linear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garding the approach to the artistic practices, Knoebel claimed, “It is practically a resumption of the old form. I regularly return to the beginning in my work, even today, and combine everything”2. In other words, the artist’s oeuvres are likely hard to be divided into the ‘early period’ or ‘late period’ in chronological order, but rather, he has expanded the artistic practices, interconnecting the early references with the recent works in the way of transforming and modifying his artistic position. Likewise, the aluminum paintings featured in the exhibition also present their uniqueness, but can be seen as one of the ‘only’ pieces of evidence that has been constantly reinterpreted and reemerged from the source of other works.

_________
1. Imi Knoebel. Works 1966-2014 (Bielefeld: KERBER, 2015), p. 201; Martin Schulz, Imi Knoebel. Kartoffelbilder (Exh. cat.), p. 35.
2. Marie-Amélie zu Salm-Salm, “The Mutifaced Oeuvre of Imi Knoebel-Open-Ended”, Imi Knoebel. Works 1966-2014, p.236; Imi Knoebel, in conversation with Johannes Stüttegen (1993), trans. From Martin Schulz, Imi Knoebel. Die Tra des gegenstandslosen Bildes (Munish, 1998), p.165.


About Artist
Born in 1940 in Dessau, Germany, Klaus Wolf Knoebel spent his childhood near Dresden, before moving to Maize with his family. He and Riner Giese(1942-74) attended the Kunstgewerbeschule (School of Arts and Crafts) in Darmstadt where instruction was for the classical principles of the Bauhaus. As a symbolic expression of their friendship and bond, Knoebel and Giess took the pseudonym of “Imi” and now they both are renowned for ‘Imi Knoebel’ and ‘Imi Giese’. Fascinated by the news-report on Beuy’s innovative and provocative works at Technical University in Aachen for ‘Festival of New Art’ in 1964, the both Imis decided to transfer to the Düsseldorf Academy (1964-71). Through the Beuy’s class in 1965 Knoebel seized the opportunity of working on the radical and creative practices aside from traditional and academic methods. The most representative sculpture of Knoebel,
, was a room originally taken place by Beuy’s class. It was not the only experimental work for studying the new relationships between painting and space but also the important place where he constantly developed his artistic approach with his colleagues-Giess, Blinky Palermo and Jörg Immendorff .

Imi Knobel’s first exhibition was “IMI + IMI” in 1968, together with Imi Giess. Besides the invited exhibitions at Kassel Documentas 5 (1972), 6 (1977), 7 (1982) and 8 (1987), he also held exhibitions in the well-known museums including Stedelijk Museum, Amsterdam (1980) and Kusutmuseum Bonn (1983). The large-scale retrospective of “Imi Knoebel Works 1966-2014” was recently presented at the Kustmuseum Wofsburg (2014). Kneobel has exhibited internationally in places such as Kunsthalle Dusseldorf (2012), Deutsche Guggenheim Berlin (2009) and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Francisco (2007), and participated in the group show “Three German Artists”, along with Gerhard Richter and Gotthard Graubner, at Gallery Hyundai (2003). His works are featured in the following museums and public collections: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Dia: Beacon, Beacon; Walker Art Center, Minneapolis; Albertina Museum, Wien; Gemeentemusum Dan Haag; National Museum of Art, Korea. He lives and works in Düsseldorf.

_

리안갤러리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독일 추상미술을 대표하는 이미 크뇌벨Imi Knoebel (b. 1940)의 국내 첫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1960년대 전후 추상미술의 발전 속에 가장 혁신적이고 급진적인 작품을 구상한 크뇌벨은 캔버스의 닫혀진 영역을 벗어나, 형태의 다양한 변주와 대담한 원색의 사용으로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들며 조각적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구축해 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독자적인 추상미술세계를 조명하며, 크뇌벨의 작품세계에 매우 중요한 알루미늄 페인팅을 선보입니다.

전통회화의 표현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한 이미 크뇌벨의 작품 접근방식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을 대표하는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1879-1935)의 절대주의로부터 영감을 받았습니다. 특히, 모든 것이 추방된 백색의 빈 화면 위에 검은색 사각형만이 무겁게 자리잡은 <검은 사각형Black Square>(1915)은 절대주의의 탄생을 알린 가장 급진적인 작품이자, 크뇌벨이 회화에 완전히 새로운 접근을 촉구한 결정적 단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말레비치의 작품처럼, 크뇌벨은 회화의 구상적 재현의 요소와 초월적 의미들을 배제한 극단적 비-재현성에 다가 갔으며, 순수한 오브제 그 자체의 형태, 공간, 절제된 색채 사이의 새로운 시각적, 조형적 경험을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나아가 1964년 당시 뒤셀도르프 국립미술학교의 교수이자 크뇌벨의 정신적 지주였던 요셉 보이스Joseph Beuys(1921-1986)의 관계 또한 작품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예술의 새로운 실천을 촉구했던 보이스는 그의 선언문Manifesto에서 “실수는 캔버스의 틀과 그것을 막 구매하려는 순간부터 이미 시작된다 (1985년 11월 1일)”라고 표명한바 있습니다. 이는 크뇌벨이 이미 1960년대부터 끊임없이 고심해 왔던 캔버스의 닫힌 공간을 향한 문제의식, 즉 “직사각형의 틀을 어떻게 의미 있게 다룰 수 있는가?”의 질문과 함께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캔버스의 제한적 ‘틀’을 깨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형태의 분석적 작업을 이루어낸 크뇌벨의 시도는 현재까지도 계속됩니다. 이러한 연구는 작품의 자유로운 구조와 그들이 놓인 전시공간, 관람자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불러일으키며, 각각의 형태가 조각적 다양성을 드러내면서도 끊임없이 유지하는 전체성을 보여줍니다.

1960년대 초기 이미 크뇌벨은 작품의 비물질화를 추구하며 직사각형의 이미 만들어진 캔버스와 물감의 사용을 자제하고, 공간 자체를 하나의 회화의 영역으로 간주했습니다. 건축물이나 빈 벽면에 빛을 쏘아 나타나는 형상으로 공간을 인식하며 전통 회와의 규범을 회피하는 예술적 실천을 이어갔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로 접어들며 작가 자신을 ‘공예가’로 명명함에 따라,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과 같은 검은색과 흰색만을 사용한 모노크롬 형식의 페인팅 시리즈를 통해 재-물질화(re-materialization)로 이행합니다. 이후, 색상의 다양성을 추구한 것은 1975년부터입니다. 특히 캔버스의 직사각형의 틀에서 벗어나, 1975년 칠각형의 열린 형태를 처음으로 제작하는가 하면, 섬유판이나 나무로 제작한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 속에 초록색이나 빨간색과 같은 기본 색상을 사용하게 됩니다. 1980년대 이르러, 작가는 나무, 녹슨 철, 낡은 파이프, 철판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사용하여, 회화에 새로운 재료의 가능성의 탐구와 형태의 자율성은 물론, 구축적 페인팅의 새로운 영역을 끊임없이 발전시켰습니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크뇌벨에게 가장 중요한 재료는 단연 ‘알루미늄’입니다. 작가는 거울의 프레임 속에 층층이 겹친 금속 막대들을 보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충동을 받음으로써, 1990년대부터 그의 주재료로 금속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는
(2013)와 같이, 표면 위에 금속 막대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컷-아웃된 알루미늄을 교차시키며 새로운 형태 전환을 보여줍니다. 사회학자이자 비평가로 활동했던 클라우스 루에브Klaus Lueb로 부터 제목을 차용한 는 딱정벌레나 나뭇잎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가운 알루미늄 표면 위를 지나간 붉은색 붓 터치는 감상자에게 색채의 따뜻함, 생동감,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이러한 기하학 형태와 색상의 환상적 조화는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칸딘스키가 지녔던 인간의 영혼에 미치는 색상의 힘을 환기시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킈뇌벨의 작품은 구체적 형상이나 이미지 같은 어떠한 참조 없이도 그 작품 자체의 시각적 힘을 호소합니다. 이는 검은색과 흰색의 절제된 색채 조화를 드러낸 대형 페인팅 (2013)이나 (2012)에서도 고스란히 전달되며, 이들의 불명확한 형태는 감상자와 상호작용 함으로써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소형의 알루미늄 회화의 일련의 그룹으로 형성된
는 2010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크뇌벨의 새로운 작품시리즈 입니다. 한 작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회화는 단순한 사각형의 기하학적 구조와 다양한 색상이 서로 상응하고 있는 5개의 분리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서 볼 수 있듯, 4개의 작업은 서로 다른 색상의 조화와 반복되는 기하학적 표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전체로 재구축하면서도, 동시에 색상 대비 속에 나타나는 조화로움과 비조화 속의 긴장감을 끊임없이 생성하기도 합니다. 철학용어인 '세계영혼(The World's Soul)'를 지칭하는 '애니마 문디(Anima Mundi)'에서 작품제목을 차용한 크뇌벨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토가 설명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비너스의 탄생 The Birth of Venus>(1486)의 해석에 영감을 받기도 했습니다. 영적 아름다움과 이를 통해 활성화되는 인간 마음의 영혼을 말한 ‘애니마 문디' 의미는 크뇌벨의 작품세계를 더욱 아름답고 견고하게 합니다.

지난 50년 동안 이미 크뇌벨은 형태와 재료의 변화를 수없이 반복하며, 다양하고도 이질적인 작업들을 전개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들 모두가 하나의 전체로 다가오는 것은, 그 발전 과정에 있어 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작업했기 때문입니다. 크뇌벨은 한 인터뷰에서 “이는[새로운 작품] 오래된 형식의 재개이다. 나는 오늘날 까지도, 내 작업의 초기 시작점으로 늘 돌아가며 모든 것을 융합한다” 라고 고백한바 있습니다. 즉 작가의 작품은 “전기 작품” 혹은 “후기 작품”과 같이 극명하게 분리되는 역사적 계보를 잇기보다는, 말레비치와 보이스의 영감으로부터 발전시킨 자신만의 오래된 예술적 개념들을 중복하고, 변경하며, 개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것에 교차시킴으로써 작품과 그 시기를 확장시켜 나갑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이번 전시에 소개된 알루미늄 페인팅 또한 그 자체가 하나의 고유한 작품으로 존재하면서도, 초기 작업부터 오랜 시간 동안 재해석되고 확장된 크뇌벨의 수많은 작품에서 파생된 ‘유일한’ 흔적 중 하나라는 것을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About Artist
이미 크뇌벨의 본명은 클라우스 볼브 크뇌벨Klaus Wolf Knoeble로 1940년 독일 데사우스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과 마인츠Mainz로 이주 전까지 드레스덴 근처에서 유년시절을 보냈습니다. 크뇌벨과 그의 동료였던 레이너 기스Rainer Giese(1942-74)는 바우하우스의 전통을 다루었던 다름슈타트 공예학교에 입학하였습니다. 이때부터 두 작가는 그들의 우정과 결속력을 상징하기 위한 하나의 표현으로 “이미 “Imi”라는 가명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지금의 ‘이미 크뇌벨’, ‘이미 기스’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1964년 독일 아헨공과대학교에서 ‘Festival of New Art’ 에서 선보인 요셉 보이스와 관련한 뉴스기사와 이미지를 보고 그의 새로움과 혁신성에 대한 충격과 도발성에 매료됨에 따라, 보이스가 있던 뒤셀도르프 국립미술학교로 전학을 가게 됩니다(1964-71). 1965년부터 보이스의 수업을 통해 전통적 규범을 벗어나 새로운 예술을 끊임없이 실험하고 창작해 내는 예술적 실천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결정적 계기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크뇌벨의 가장 대표작인 <19번 방 Raum 19>은 실제로 보이스가 수업할 때 사용했던 공간이자, 초기 크뇌벨이 실재 공간 속에 존재하는 페인팅의 관계 연구가 펼쳐진 곳, 나아가 그의 동료작가 기스, 블링키 팔레르모Blinky Palermo, 요르그 임멘도르프Jörg Immendorff 와 함께 새로운 예술 개념과 실천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했던 중요한 곳입니다.

크뇌벨의 첫 전시는 1968년 이미 기스와 함께한 “IMI + IMI” 전으로, 1970년 이후 카셀 도큐멘타 Documenta에 4차례나 초대되었으며(5회/1972, 6회/1977, 7회/1982, 8회/1987), 스테델릭 미술관(1980), 쿤스트뮤지엄 본(1983) 등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최근 볼프스부르크 미술관에서 “이미 크뇌벨. 1966-2014 작업” 전시로 대규모의 회고전이 진행되었습니다. 이외 뒤셀도르프 미술관(2012), 베를린 구겐하임 미술관(2009), 샌프란시스코 미술관(2007)등 주요 개인전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3년 갤러리 현대의 “독일 현대미술 3인” 전시에서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고타르트 그라우브너Gottahard Garubner와 함께 소개된바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미국 뉴욕현미술관, DIA:Beacon, 워커아트센터, 비엔나 알베르티나 박물관, 네덜란드 헤이그 시립미술관, 과천국립현대미술관 등 세계 유명 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현재 크뇌벨은 독일 뒤셀도르프에 거주하며 작업 중입니다.

Artist

    select * from sp_product where wm_id='34'
  • Imi Knoe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