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Paintings of Kim Ho-Deuk
While the most traditional norm for reading western painting would have been a law of linear perspective and an interpretation of iconography, the most peculiar aspect understanding eastern painting should have been to find the meaning from a principle of intuition and the spirit of artist. As each art history has had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ideas from the beginning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t is still not simple to see the very basic nature of the internal aspect that has inherited, even we understand that these days there is a vast melting pot of various philosophical ideas and different cultures. The ink paintings Kim creates only with base material, brush and water ink has kept the distance from both sides, the western style of meticulous observation and the East Asian concept of grasping emotion and atmosphere of man and nature. The abstract images created with bold strokes at once, overlapping with countless dots have always been responding the given space, thus, starting with the flat painting, it concludes with the complete space.
Even a single line, a mono color and a single plane is enough to be a painting for Kim whose visualization would be actualize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ach scene of valley, waterfall, people and landscape which is passing through the inner concept and filtering through the senses. When each element, which already has a sufficient figure in itself, as a being of painting and nature, corresponds to the metaphysical questions such as emotion, spirituality and purity, those shapes are transfigured; the interpret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me has changed the structure of the form which is supporting the painting; finally, between the strains, the very sharp way of how senses are expressed and its understatement, the image would be seemed as an illusion, which is rather instant, abstract and very vague, beyond multiple layered time. In the image created by him, there is a similarity as in the appearance of abstract painting, at times that looks quite decorative, an intense coexistence between the arbitrariness and the autonomy, and in the mean time the artist insists the idea and experiments about painting against the idea of western concept of abstract paintings. His art-will and the strategy of art can be interpreted that while it takes the form of monochrome painting in abstract painting, within the contents, it conveys the soul and the structure of the East. The spiritual resonance of the artist can easily be recognized through the images that are created by means of composing a stroke, a space made of leaning strokes against each other, and the overlapping plane surfaces making good use of Sumuk techniques such as Bal-muk (technique for how to control the density of ink and measure the amount of water), Pah-muk (literally it means break the ink, before ink dries adds some brush strokes to give a variations), Seon-yeom(before the painting, spraying water on the paper and then have a quick stroke, before it dries). The image manufactured by self-controlled strokes, overlapped plane surfaces creates formation, harmony and collision of universe so that it can be united, spilt in, occasionally holding hands, giving occasional tension, rhythm of life.
Kim's recent work on display at LEEAHN Gallery is showing compact, pithy, and laconic statements than any other shows which he has presented. The works featuring in this show, embracing all the latest series of work, 'Gentle Moving', 'All of Sudden', and 'Space', are presenting much more powerful shape of a single strike, plane, and space. After his efforts to reinterpret and experiment of elements of plastic art, dots which were filled with each stroke, to the exclusion of any kind of decorative elements, and the possibility of new space made of a single plane could be established, From the points of dots and strokes, and space among them, between the strok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to the given space, he moves a step ahead, thus, Kim's creative principle based on the idea of reduction by the application of the repetition of strokes, overlapping dots, and folding the spaces has changed into the way of filling out. In this exhibition, the installation work is firstly introduced, in which a painting covered with black acrylic paint is juxtaposed with a screen mad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hich transmit light. Placing the two works in juxtaposition with each other in connection with sensual stimulus and material property draws out the contrasts between the minimum and the maximum, light and color, reduction and filling, tension and relaxing, spectator may experience the sensual correspondence and collision. The artist may have intended to consider his actions and reactions in art practice just as a part of his odyssey, or an unfinished journey.
Among those various ways to perceive the surroundings and million ways of expression of them, Kim's paintings resulted from his own peculiar style, expressive art-will exist as a set of combination in accumulated over time, space and conducts of art practice. As the paintings have always responded to the exhibiting place, it has the power that spectators feel as the artist did, becoming even more empowered than he did. While he is experimenting elements in plastic arts, his dots, strokes, and planes are becoming compact and cement, bringing out more tension on it, during the course of work the audiences may recognize the very essence of idea of art. He keeps trying to find the way of opening the door of the sensible in order to feel, interpret, and express the world, is continuing to experiment and seeking to answer for the quest to art never tiring, never finishing, therefore it shows the basic issues of art beyond interpretation.
Curator HaeKyung Kim
김호득의 회화
서양미술을 읽는 전통적 규범으로 원근법적 관찰과 도상학적 해석을 가치로 삼았다면 동양의 정서로 읽는 미술은 직관과 사의를 찾는 것이 아닐까 한다. 서로 다른 문화와 정신을 이어내려 온 두 미술은 그 출발과 역사의 기록만큼이나 서로 달라서 다양한 문화와 철학이 하나의 거대한 용광로에서 끓고 있는 오늘 그 각각의 내면에 여전히 남아 있는 본래의 모습을 알아보는 것이 쉽지 않게 되었다. 김호득의 지필묵이 풀어내는 화면은 그것이 서양의 관찰과도 동양의 사의와 사념의 세계와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거친 일획으로 또는 셀 수 없이 많은 점의 중첩으로 이루어진 추상적 화면은 언제나 그것이 놓이는 공간과 조우하며 이로써 평면회화에서 출발하여 하나의 완결된 공간으로 마무리 된다.
계곡, 폭포, 사람 그리고 풍경 등이 내면의 관념과 감각의 필터를 통과하여 시각화 하는 과정을 거쳐 구체화되는 김호득의 회화는 한 가닥의 선, 하나의 색, 그리고 하나의 면으로 충분하다. 회화적 존재, 자연의 존재로서 충분히 구체적인 형상을 갖고 있는 이들은 감정, 영혼, 순수성과 같은 초월적인 개념과 만나면서 그 형태를 달리하게 되는데, 대상에 대한 작가의 해석과 표현의 결과는 화면을 지탱하는 형식의 구조를 바꾸어 놓고, 표현의 날 선 감각과 절제는 그의 화면을 겹겹이 쌓인 시간을 넘어 찰나의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막연한 환영과도 같이 보이게 한다. 때로 장식적으로 보이기도 하는 서양의 추상을 닮은 작가의 화면은 그러나 자의성과 자율성이 서로 팽팽히 공존하면서 의미 없음의 추상에 자신의 회화의지와 실험을 주장 한다. 이는 형식은 모노크롬 추상을 닮되 그 속에 동양의 정신과 의미의 뼈를 두고자 하는 작가 의지의 모습으로 이해된다. 파묵, 발묵 그리고 선염의 자유로운 운용이 만들어내는 일획과 획이 서로 기대어 생성되는 사이 공간 그리고 면의 겹침으로 되살아나는 이미지에서는 작가의 기운생동이 넘친다. 절제된 선과 면의 겹침으로 생성과 화합 그리고 충돌을 그리는 작가의 화면은 합해지고 쪼개지고 분할되고 때로 서로 손을 잡으면서 긴장을 만들고 리듬을 그리며 생명을 표현한다.
이번 리안갤러리 전시는 그동안 작가의 어떤 전시보다도 압축적이고 간결한 형식을 추구하였다. 전시되는 작품은 '흔들림' '문득' 그리고 '공간' 을 모두 아우른 하나의 선, 하나의 면, 그리고 하나의 공간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조형의 기본이 되는 요소의 재해석과 실험은 장식성을 배제한 획과 획 사이를 채우는 점, 그리고 하나의 면으로 새로운 공간의 가능성과 실험의 결과로 등장한다. 점과 획 그리고 그 사이의 공간, 획과 획의 사이, 그리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주어진 공간과의 관계 맺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평면위에서 새로운 공간의 생성과 그들과의 관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은, 획의 반복과 점의 중첩 그리고 그 사이 공간의 겹침으로 그동안 비움과 여백으로 남겨두었던 회화의 한 요소를 새로운 채움과 실험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한편 처음 소개되는 검정색 아크릴을 사용하여 화면 전체를 채운 캔버스 회화와 빛이 투과하는 한지로 제작한 스크린을 하나의 공간에 함께 설치한 작업은 최소와 최대, 빛과 색채, 비움과 채움 그리고 긴장과 이완 등 서로 다른 감각의 지점과 물성을 가진 요소들의 대비와 병치를 통해 시각적/감각적 충돌과 조응을 경험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작가의 행위와 그 결과를 긴 여정의 일부로 미완의 과정으로 느껴주기를 바라는 작가의 의도로 읽혀진다.
세상을 느끼는 수많은 감정의 갈래와 표현의 만가지 방법 중에서 작가 고유의 방법과 표현의지로 결과되어진 김호득의 회화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조형행위가 뭉쳐져서 이루어진 하나의 집합체로 우리에게 존재한다. 그의 회화는 공간속에서 호흡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그리는 사람의 감정과 느낌을 포착하게 하고 또 더욱 강화시켜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화면위로 끊임없는 실험을 되풀이하는 동안 작가의 점, 선, 그리고 면은 하나로 압축되어 더욱 긴장관계를 만들어가고 그 속에서 작가가 도달하고자 하는 조형의지를 새삼 발견하게 한다. 세상을 읽고, 느끼고, 표현하는 새로운 감각의 문을 여는 방법의 발견과 조형실험을 지치지 않는 열정으로 이어가며 미술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있는 작가의 회화세계는 여러 가지 해석과 의미를 찾는 시도를 넘어 우리에게 더 큰 미술, 본연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큐레이터 김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