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Daegu
Myungmi Lee Carrousel Oct 23 – Nov 14, 2009 | Daegu

What constitute the paintings by LEE Myung Mi are things like graffiti-like image pieces, randomly cut out verses of pop music or writing, as well as autobiographical tales hidden behind these items. Although her world of paintings has been explained in the forms of games, metaphors or wordplays, it still has left somewhat insignificant things behind for the spectators of her works to feel uncomfortable to look at her works. Her works seem to lack something to be simply considered as a representation of artist's witty imagination and liberal nature, as well as a perfect, pure form of expression, where our interpretation of such works demands rather detailed artistic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Jean-Michel Basquiat, a renowned New York artist whose short but brilliant career brought him to a great fame in 1980s, and Keith Herring, whose prolific career was shortened by AIDS, have mesmerized the New York arts scene with their graffiti-on-the-wall style of works that enumerated then dismantled the images and meanings of isolation. Their works are now part of a familiar genre in painting today and, if so, how are LEE Myoung Mi's paintings, in which formal affinities to their works can easily be found? Can her works be one way or another considered as following the footsteps of Basquiat and Herring, and the vogue of the past decade? Or should we be content with her works being on-going repetition and self-sufficiency, remaining as self-fulfilling amusement? Will we be able to find something new from those?

Paintings by LEE Myung Mi leave her imprint with bold use of primary colors and almost primitive-like simple shapes, as she seeks her own visual language by using these intense colors and shapes, along with impromptu and indicative expression. Random recollections, everyday occurrences and recollections, along with monologue-like autobiographical tales all appear on canvas as paintings without having any temporal and spatial obstructions. Her canvas is of free-style, filled with letters and pictures that resemble playful designs by a child with full of curiosity, yet also display clear discipline as well. Such works as 'Let's Just Drink (Mashobeorija),' 'Why Does the Sun Shine' and 'Spring has Arrived' feature such imagination and sensibility that cross between the borders of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with the pictures made up of letters, paragraphs and symbols resemble some kind of a cryptogram that is impossible to decipher. These monologues and unconscious notions from the artist are mixed together with colors and created as an artwork. The artist seeks her own visual language through use of words and shapes and, although her artworks in form may seem to be in between abstract and formal painting, they are actually quite realism-based in their contents. In other words, her paintings may be abstract in form, yet the content-wise, they are of the facts in touch with temporal and spatial reality, abstract thought-based expressions and/or paintings that cross over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Her artworks express her own philosophy, conflict and sentiments, breathing in fresh impact and inspiration with sudden display of instinct for survival in life clearly shown. 

Use of intense primary color and unique brush stroke that reminds us of child-like handwriting are basic yet key elements that comprise the artist's paintings. Her familiar icons, including flower, airplane, cup, chair, flowerpot, talking or singing dog, often appears repeatedly while being depicted with simple and rough unicolor lines, whereas primary colored surface freely roam the canvas in abstract manner. Her recent works show countless colored points that bring out a space and connect or severe the shapes and words to or from one another, replacing a primary color field. Shapes found in 'Spring willows on the branches hanging by the riverside...' 'flower' and 'I'll be back,' including letters, flower, airplane and flowerpot that occupy the center of the canvas with general similarities in them, are drawn in colored spaces, lines or colored points, while the canvas comprised of these spaces, lines and points is full of variations created from crashing and harmony of various colors. Characters, symbols and words found in literature and life that are depicted on canvas combine with colors to create new images themselves, while her paintings, whose style lies in between abstract-expressionism and pop art, are more than sufficient enough to bring out a huge inspiration with her own monologues and murmuring that circles her mouth. 

LEE Myung Mi's canvas presents attempts at natural understanding of her works, yet makes us realize that simplified line-drawn images are the secondary subject matters on the canvas, while colorful lines and spaces swimming through the surroundings and background function are the primary subject matters. In other words, colors in her paintings that are divided and combined in vivid primary colors are contents and symbols that we must understand from her artworks, while symbol-like letters and shapes are some form of deception that hide away and dilute the primary subject matter. Perhaps her strong use of colors and pursuit of shape and form, along with everlasting experiment on canvas are her attempts to attain the original art form, pure nature of drawing and the origin of color use in the end. Artistic experimentation of LEE Myung Mi, whose attempts and processes in color abstraction and expression language in creation of brand new understanding, simultaneity and shared sympathy, displays continuous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standard of art. 

Curator HaeKyung Kim


* Carrousel, the title of this article as well as the exhibition itself, does not indicate a traditional, direct translation of 'a merry-g-round,' but rather signifies a round-shaped Ferris wheel which has the highest point to the sky often found at the center of amusement parks. Carrousel goes up and down between the earth and the sky, slowly disappearing from our view before coming back to reveal its complete image and enables us to capture and enjoy various images of the ground and its ever-changing phenomenon. This is quite similar to the works of LEE Myung Mi, which reveals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images from our lives and traces of our changing sentiments in the manner of Carrousel's movement.

 

-

 

C a r r o u s e l _ 이명미의 회화

낙서처럼 긁적인 이미지의 조각들, 아무렇게나 잘라놓은 대중가요 또는 문장의 한 토막, 그리고 그 속에 숨겨져 있는 자전적 이야기 등은 화가 이명미의 회화를 채우고 있는 것들이다. 게임이나 은유, 놀이 등으로 그동안 설명되어 온 작가의 회화세계는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 미진한 구석이 남아 그의 회화를 바라보는 이들을 불편한 채로 남겨두었다. 단순히 작가의 재기발랄한 상상력과 자유로움으로 또 완전한 순수의 표현으로 마감하기에는 어딘가 부족해 보이는 그의 작품과 또 우리의 해석은 이제 보다 면밀한 작품읽기와 감상을 요구받는 듯하다. 

1980년대 미국 뉴욕에서 짧은 기간 동안 성공을 경험하며 일약 스타작가로 명성을 얻었던 쟝 미셀 바스키아나 에이즈로 역시 길지 않은 생을 아쉽게 마감하였던 키스 헤링이 그러했듯이 마치 벽에 낙서를 하듯 고립된 이미지와 의미의 나열과 해체로 뉴욕 미술계를 매료시켰던 그들의 미술은 이제는 우리에게 새로울 것 없는 익숙한 회화의 한 장르가 되었다. 그렇다면 형식적 유사성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이명미 선생의 회화는 어떠한가? 그렇고 그런 지난시대의 유행을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까, 자기증식과 반복을 지속하며 머물러있는 자족적 놀이로 만족할 것인가. 우리는 그 속에서 새로운 무엇을 찾을 수 있을까. 

과감한 원색의 사용과 원시적이리만큼 단순한 형상으로 우리에게 자신을 각인시키고 있는 이명미 선생의 회화는 그 색채와 형상의 강렬함과 즉흥성만큼이나 강하면서 직설적 어법으로 자기만의 시각언어를 찾고 있다. 문득 문득 떠오르거나, 일상에서 스쳐 지나가는 찰나의 현상과 기억, 그리고 독백과도 같은 자전적 이야기들은 시간과 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하나의 화면속에서 그림이라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호기심 가득한 어린아이의 장난스러운 도안과도 같은 문자와 그림으로 가득 차 있는 선생의 화면은 자유로운 듯 그러나 뚜렷한 규정 역시 보여주고 있다. '마셔버리자' '왜 태양은 빛나는지' '봄이 왔어요' 등 작품들은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상상력과 감성이 깃들어 있고 단어와 문구, 기호가 어우러진 그림은 해독하기 힘든 하나의 암호문 같다. 자기독백과 무의식의 개념들은 색채와 버무려지며 작품으로 탄생하고 문자로 그리고 형상으로 자기만의 언어를 찾고 있는 선생의 회화는 형식적으로는 추상과 형상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지만 내용적으로는 사실주의다. 즉 형식적으로는 추상에 가깝지만 내용적으로는 현실의 시공간에 맞닿아 있는 사실이며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드는 추상적 사유의 표현/그림인 것이다. 그림 속에서 그 자신의 철학과 갈등 그리고 감정을 표현하고, 삶 속에서 생존의 본능이 번뜩이는 선생의 작품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과 영감을 불어넣는다. 

강렬한 원색의 사용과 어린아이의 필체를 떠 올리게 하는 특징적인 선(brush stroke)은 이명미 선생의 회화를 이루는 기본 요소이자 핵심요소이다. 꽃, 비행기, 컵, 의자, 화분,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개(a dog) 등 반복적으로 화면에 등장하는 단골 아이콘들은 단색의 거칠고 단순한 선으로 간단히 묘사되어 있고 원색의 추상적인 색면은 자유로이 화면 위를 오르내리고 있다. 최근에는 무수한 색점들이 하나의 공간을 이끌어 내며 형상과 단어들 사이를 이어주기도 하고 단절시키기도 하면서 원색의 색면(color field)을 대신 하기도 한다. '노들강변에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마다...' 'flower' 'I'll be back' 등 문자와 꽃, 비행기, 화분 등 대동소이한 모습으로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는 형상들은 색면이나 선, 또는 색점으로 그려지고 있고, 점과 선 그리고 면으로 어우러진 화면은 색채의 충돌과 어울림이 만들어 내는 변주로 가득하다. 캔버스에 묘사된 문학과 생활 속 캐릭터나 기호와 단어들은 색과 더불어 스스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고 추상표현주의와 팝 아트 사이에 놓여있는 선생의 회화는 자기 독백, 입속에서 맴도는 웅얼거림을 넘어 보는 이와 더불어 커다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해 보인다. 

자연스럽게 읽기를 시도하게 되는 이명미 선생의 화면은 그러나 간단한 몇 개의 선으로 단순화된 형상들이 화면의 소재로 자리하고, 배경과 주위를 유영하는 색채의 선과 면들은 작품의 주제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선명한 원색으로 나누어지고 합하여지는 색채가 선생의 작품에서 우리가 읽어내어야 할 내용이고 상징이며, 기호와도 같은 문자와 형상들은 주제를 감추고 희석시키는 하나의 속임수가 아닌가 한다. 끈질긴 색의 사용과 형상에 대한 탐구, 그칠 줄 모르는 화면에 대한 실험은 종국에 작가가 도달하고픈 미술의 원형, 그리기의 순수성과 색채의 원시성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닐까. 색채추상과 표현 언어의 시도와 과정으로 새로운 소통, 동시성 그리고 공감대 형성을 보여주고 있는 이명미 선생의 예술 실험은 전통적인 기준으로부터의 쉼 없는 일탈을 보여주고 있다. 

큐레이터 김혜경


* 글의 제목이자 전시명이기도 한 Carrousel 은 일반적인 우리말 번역인 회전목마를 의미하지 않고 놀이공원에 가장 높이 솟아 하늘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원형관람차를 의미한다. 하늘과 땅 사이를 오르내리며 지상의 다양한 모습과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즐길 수 있는 carrousel은 점점이 사라졌다 완전한 모습으로 다가오기를 반복하면서 우리 삶의 익숙한 모습과 낯설음 그리고 변화하는 감정의 자락을 드러내는 선생의 작품과 닮아있다.

Artist

    select * from sp_product where wm_id='60'
  • Myungmi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