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Gallery
  • Sphérique, 2017, Brass, Diameter 118 cm
  • inattendu, 2017, Bronze, 120 x 154 x 29.5 cm
  • Projeté triptyque, 2005, Pigment on paper, 160 x 120 cm (for each)
  • Courtesy of the artist & Leeahn Seoul © Bernar
Yoon-Hee in/attendu Sep 12 – Oct 25, 2018 | Seoul

Leeahn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in/attendu, Yoon-Hee’s solo exhibition that will be on view at the gallery’s Seoul location. This exhibition will provide the audience with an opportunity to view the sculptures and drawings of the artist, who is constructing her unique sculptural world in France. 

 

The reasoning behind choosing in/attendu as the exhibition title is not only to emphasize her French background but also because it is the most appropriate word to express her work. It is an adjective derived from the French verb attendre, which means to wait. The negative prefix of ‘in’ is added to ‘attendu’, which can be translated to ‘awaited’ and ‘expected’, becoming an adjective of ‘unexpected’ as well as the noun of ‘accidental event’. A ‘/’ sign is then added in order to symbolically disclose Yoon-Hee’s artistic world that contains the implications of both ‘contingency and wait’. 

 

Yoon-Hee defines herself as a sculptor, but her sculpture cannot be defined as one art category or incorporated into a specific art trend. She established her own production method and rejected the existing method of obtaining a predetermined formative shape by injecting a metal melt into a mold of a desired shape as well as that of adding and removing dough like soil to complete the shape or carving out and trimming materials such as wood and stone. Various metal matters including bronze, brass, aluminum and copper found in industrial sites such as steel mills are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of 800-1200 〬C and thrown into a cone or circular mold with different force, direction, speed and amount. The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combining, and flowing down solutions is repeated. Even though such act cannot be performed directly due to the solution’s heavy weight and is indirectly executed by a professional worker in the steel mill as she orders, the artist's fundamental intervention can be seen so far. The final result cannot be predicted by Yoon-Hee herself except for the basic form of the mold; the material acts on its own under the least intended situation, leaving the artist with no choice but to ‘wait’ for it to appear as an ‘accidental’ result.



Yoon-Hee states that her sculpture ‘becomes’ itself. In other words, it undergoes change in terms of state or appearance whether it be progress or regress. Metals collected from nature go through the process of refining and smelting, then are dissolved in a blast furnace and solidified in different forms, repeating change of various state. This is not the extinction of existence but rather a transformation, continuing its existence in a different form even though the original appearance has disappeared. As seen in the Sphérique (spherical) series made of bronze or brass that is exhibited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maintains the original color of bronze or fades depending on the time and area of oxidation, and completely oxidizes into a substance that strikingly differs from ash. In addition, metal solution accumulates and agglomerates to create protrusions, while drops of the solution are scattered and clotted to create thin, soft lace-like edges.

 

The waiting process of a figure that forms naturally reflects Yoon-Hee’s interest in the essence of substance itself and temporality. Time is irrevocable and irreversible, but we can intuitively feel and acknowledge its flow. Moreover, every phenomenon takes place within this flow of time. Aristoteles has once said that time and movement are measured together, and that even though time itself is not a movement it is a kind of movement in that it involves a certain change. What the artist aims to present through her artwork is the motility of material that undergoes transformation along with this temporal flow. To Yoon-Hee, “to create an artwork is to resist time” and her sculptures are “fractions of nature in that they show the transitional state that reminds the process of change due to time and entropy”. That is, metal ingredients can be seen to represent nature itself as they are chosen as an example that consists a part of it. 

 

In nature, the endless change, resurrection, improvement and degradation of all materials take place along with time even though nature may seem immobile and stationary. As the artist mentioned, such condition of increased entropy that creates unpredictable, chaotic energy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natural phenomenon as well as the universal law. Nature is the world of matter that is constantly created and transformed without order by its own inner necessity. The Inattendu series that is hung on the wall in convex circular form is chaotically accumulated and coagulated, therefore visualizing it through the surface that radiates powerful energy. Yoon-Hee 'reenacts' the self-becoming fragments as sculpture and incorporates them into the context of museum space. Her act of recreating self-becoming sculpture with minimal intervention reflects the artist’s view of nature; she aspires to become a part of nature by embracing it from a contemplative perspective and not considering it as subject to conquer or concept of helpless adaptation. 


Despite the fact that Yoon-Hee's sculpture is individually made by itself with minimal intervention, it can also be seen as an installation work that encompasses the entire space in which the artist actively intervenes. For her, artwork and space are interconnected to form a whole, rather than being separate. Furthermore, the places where the artwork is condensed and scattered are ‘to simultaneously occur the tension and stillness of fullness and emptiness’, which she intends; such space and total material mass are in the latent state of concrete, real existence. In other words, it i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audience can experience these works from a meditative perspective, and to walk through artworks to break the balance between tension and silence to actually validate the potential existence by breathing life into it.

 

This exhibition presents lively drawings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sculptures. Yoon-Hee has recently stated that drawing work can be understood from the exact same perspective as sculpture work. 〈Projeté triptyque〉, a work that can be seen directly from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space, is drawn as if thrown in direction and strength that are instantly, intuitively decided using a unique tool devised by the artist. A diluted natural black pigment coheres in viscous places while it flows down and eventually forms itself in thin places. The intention of the artist and accidental result are compromised to complete the form as a singular totality. Yoon-Hee’s work gives off the intense energy and spirit of a storm that can hardly be seen as that of an artist with a slender body. 

 

프랑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 언어를 구축하고 있는 작가 윤희의 조각 작품과 드로잉 작업을 감상할 수 있는 개인전 <이나땅뒤>가 리안갤러리 서울에서 2018년 9월 1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이번 전시의 표제로 프랑스어 단어 ‘inattendu’를 선택한 이유는 1980년대에 프랑스에 정착하여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가의 배경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도 있지만 그보다는 그녀의 작업을 가장 함축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적정한 단어이기 때문이다. 이 단어는‘기다리다’를 뜻하는 프랑스어 동사 ‘attendre’(아땅드르)에서 파생한 형용사로 ‘기다린, 기대된’의 의미인 ‘attendu’(아땅뒤)에 부정의 접두사 ‘in’을 더해 ‘예기치 못한, 뜻밖의’라는 뜻의 형용사이자 ‘우발적 사건’을 의미하는 명사가 되기도 한다. 여기에 대립을 뜻하는 부호 ‘/’를 붙여서 ‘우연성과 기다림’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는 작가의 예술 세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를 조각가로 정의하지만 윤희의 조각 작품은 어느 한 예술 범주로 규정하거나 특정 미술사조로 편입시킬 수 없다. 흙과 같이 반죽을 덧붙이고 떼어 내 형태를 완성하거나 목재, 석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깎아 내고 다듬는 조각 제작 방식은 물론, 원하는 형태의 주형에 금속 용해물을 주입하여 예정된 조형적 형태를 획득하는 기존의 모든 조각 제작 문법을 거부하고 그녀만의 새로운 제작 양식을 구축했다. 제철소 등의 산업 현장에서 찾아낸 청동, 황동,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여러 금속 재료를 800-1200 〬C의 고온에 녹여내 원추 혹은 원형의 주형에 힘과 방향, 속도, 양 등을 달리하여 던짐으로써 그로 인해 용액이 쌓이고 결합되며 흘러내리는 과정이 반복된다. 비록 육중한 용액의 무게로 인해 직접 수행하지는 못하고 그녀가 주문하는 대로 제철소의 전문 작업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되지만 어쨌든 작가의 근본적인 개입은 여기까지로 볼 수 있다. 기본적인 주형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최종적 결과물은 작가 자신도 예측할 수 없으며 최소한으로 의도한 상황에서 물질이 스스로 작용하며 ‘우연적’ 결과물로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윤희는 자신의 조각은 그 스스로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떤 것이 된다는 것은 진전이 되었든 퇴보가 되었든, 일정 지속 기간이 흐르는 동안 상태나 외형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자연에서 채취된 금속은 정련과 제련 등의 공정 과정을 거치며 뜨거운 용광로에서 용해되고 다른 형태로 응고되면서 여러 가지 상태의 변화를 거듭한다. 이렇게 되는 것은 존재의 소멸이 아닌 변형으로서 본래의 외형은 사라졌을지언정 다른 형태로 그 존재성을 이어 간다. 이번에 전시된 청동이나 황동으로 제작된 《Sphérique》(구형) 연작에서 볼 수 있듯이 공기와 맞닿아 산화되는 시기와 면적에 따라 조각의 표면은 청동의 본래 색을 유지하거나 바래지며, 완전히 산화되어 재와 같이 확연히 다른 물질처럼 보이도록 변화하기도 한다. 또한 금속 용액이 많이 쌓이면서 응결되어 돌출된 부분이 생성되게 하거나 용액 방울들이 흩뿌려지고 엉기면서 얇고 부드러운 레이스와 같은 가장자리 형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렇게 스스로 되는 형상에 대한 기다림은 물질 그 자체의 본질과 시간성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반영한다. 시간은 돌이킬 수 없고 되돌아갈 수도 없는 감각 불가능한 것이지만, 우리는 선험적으로 시간의 흐름을 느끼고 의식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현상은 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과 움직임은 함께 측정되는데, 비록 시간 그 자체가 움직임은 아니지만 어떤 변화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움직임이라고 했다. 윤희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보여 주고자 한 것은 바로 이 시간의 유동과 함께 변모를 거듭하는 물질의 운동성이다. 작가에게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곧 시간에 저항하는 것”이며 자신의 조각 작품은“시간과 엔트로피에 의하여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상기시키는 과도기적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자연의 단편들”이라고 했다. 다시 말해서 산업 현장에서 가져온 금속 재료는 자연의 일부를 이루는 한 예시로서 선택된 것으로 자연 그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언뜻 생각하기에 자연은 비유동적이고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자연에서는 모든 물질들의 끊임없는 변화와 재생, 향상과 훼손이 이루어진다. 작가가 언급했듯이 이러한 예측 불가한 무질서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엔트로피가 증가한 상태는 자연 현상의 근본 원리이자 우주적 법칙이다. 그 스스로의 내적 필연성에 의해 질서 없이 스스로 생성되고 변모하는 물질들의 세계, 그것이 바로 자연이다. 볼록한 원형의 형태로 벽에 걸린 《Inattendu》 연작은 혼란스럽고 무질서하게 축적되고 응고되며 힘찬 에너지를 발산하는 표면을 통해 이를 가시화한다. 윤희는 그 스스로 되는 자연의 단편을 조각으로 ‘재연’하고 미술관 공간의 맥락으로 편입시킨다. 최소한의 개입으로 스스로 되는 조각을 재연하는 것은 자연을 정복 대상이나 무기력한 순응의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고 자연에 대한 관조적 입장에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며 그 일부가 되려고 하는 작가의 자연관을 드러내는 것이다.


비록 윤희의 조각 작품이 개별적으로는 개입을 최소화한 스스로 이루어진 하나의 조각 작품이지만 동시에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설치작품으로 볼 수도 있으며 작가는 여기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그녀에게 작품과 공간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며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총체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작품이 응집되는 곳과 산재된 곳은 그녀가 의도하는 ‘충만함과 비어 있음의 긴장과 정적을 동시에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공간과 물질 덩어리의 총체는 구체적, 실재적 존재감이 잠재된 상태이다. 즉 관객이 관조적 시각으로 이러한 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자, 실질적으로 작품 사이를 오고가며 긴장과 정적 사이의 균형을 깨뜨리고 잠재된 존재감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실질적으로 유효화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러한 조각 작품과 함께 생동감 넘치는 드로잉 작업도 만나볼 수 있다. 작가는 최근 들어 드로잉 작업이 정확하게 조각 작업과 같은 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했다. 전시장 입구를 들어서자마자 볼 수 있는 〈Projeté triptyque〉(내던짐의 세폭화) 등의 작품은 검정색 천연 안료를 먹을 개듯 희석시켜 작가가 고안한 전용 도구를 이용해 방향과 힘의 세기를 순간적, 직관적으로 결정하여 내던지듯 그려 나간 것이다. 점성이 되직한 곳은 뭉쳐서 응집되고 묽은 곳은 흘러내리며 결국 스스로 그 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작가가 의도한 것과 우연적 결과가 절충되며 하나의 총체로서의 형태가 완성된다. 특히 가녀린 몸을 지닌 작가의 작품이라고는 믿기 힘들 만큼 폭풍우가 휘몰아치는 듯한 격렬한 에너지와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다.

 

글. 성신영

Artist

    select * from sp_product where wm_id='14'
  • Yoon-Hee